돼지열병 관련주5 2020.08.10 상한가 - SK디스커버리, 청호컴넷, 한국비엔씨, 케이피티유, 엑세스바이어, 알루코, 2차전지 관련주 급등 금일 장은 코스딕 보다는 코스피가 강세를 보였고, 2차전지 관련주들이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유럽발 이슈가 있었는데 영향을 받은 모습으로 보이네요. 그나저나 비도 많이 왔는데 태풍까지 오는 중이라 걱정이 되네요... 전주 미국 증시는 혼조세로 마감을 했었죠. 제5차 경기부양책 협상이 난항에 빠지면서 주가의 방향성을 잡지 못 했는데요.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은 추가 부양책에 대한 민주당과의 협상에서 진전이 없다고 밝힌 상태 입니다. 민주당 1인자인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은 "백악관에 '더 큰 숫자'를 갖고 협상 테이블로 돌아오라고 요구했다"고 말했으며, 추가 실업수당을 중심으로 부양책 규모를 더 늘리라는 뜻으로 해석 되는데요. 아마 오늘 이 부분과 관련해서 일부 답이 나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 상한가 & 특징주 & 하한가 2020. 8. 10. 2020.06.30 상한가 - 한한령 해제 수혜주 급등, 홍콩특별지위 박탈에 대한 우려(미중갈등) 금일 이슈는 크게 두가지로 보면 될 듯 싶습니다. 미중무역갈등이 다시 시작할 수 있다는 부분과 한한령 해제 이유가 되겠습니다. 우선 금일 반등이 나오기는 했으나 상승폭 제한이 있었는데 중국의 홍콩 국가보안법 통과 이슈 때문인데요. 미국이 홍콩에 대한 특별지위를 박탈하는 조치로 맞대응하면서 양국의 갈등이 다시 붉어지는 상태 입니다. 미국이 홍콩특별 지위를 박탈함에 따라 수출 허가 예외 등 홍콩에 특혜를 주는 미 상무부의 규정이 중단됐으며 관세나 투자, 무역, 비자 발급 등도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습니다. 또한 홍콩에 대한 미 군사장비 및 이중용도 기술 수출도 중단 됐다고 합니다. 이에 미국 증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부분이라 오늘 어떻게 움직일지 보셔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전일 미국 증시는 주택거래 .. 상한가 & 특징주 & 하한가 2020. 6. 30. 2019.09.25 상한가 - 대한제당3우B, 팜스스토리, 마니커에프앤지, 돼지열병 확산, 트럼프 탄핵 이슈 등 금일 장은 미국 트럼프 탄핵 우려감과 중국 무역관행에 대한 비난 발언의 영향을 받았는데요. 이런 악재는 또 다 받아 들이는게 국내 증시죠... 국내증시 뿐만 아니라 글로벌 증시가 모두 하락 했는데 이 영향은 무시할 수 없는 하루였던 것 같습니다. 국내 증시도 대부분이 하락 했기 때문에 상승 종목 보다는 하락 종목이 더 많이 나왔죠. 헬릭스미스는 당뇨병성신경병증 치료제 후보물질인 '엔젠시스(VM202)' 임상 3상 발표 연기 소식이 전해지면서 2거래일 연속 하한가를 맞았는데요. 어제는 다른 제약/바이오주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오늘의 하락은 영향을 준 모습 입니다. 때문에 코스닥 지수도 무너지고.... 참 힘든장이 아닐 수가 없네요. 꼭 헬릭스미스 때문이라고 단정 짓기는 그렇긴 하지만 장도 안좋은 상태에 .. 상한가 & 특징주 & 하한가 2019. 9. 25. 2019.09.24 상한가 - 대한제당3우B, 대우부품, 코리아에프티, 진바이오텍, 대성엘텍, 자율주행 테마 강세 금일 장은 미국 증시의 영향을 많이 받은 모습이였습니다. 좀 지루한 느낌을 많이 받았는데 코스피 지수는 급등 보다는 눌림과 상승을 반복하면서 움직였고 코스닥은 조정을 받는 모습이 나왔습니다. 국내 증시 중 자율주행 테마주와 아프리카 돼지열병 관련주들이 상승을 많이 한 모습이 나왔는데요. 현대자동차그룹이 자율주행 기술 개발에 2조4000억원가량(20억달러)을 투자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자율주행 관련주들이 급등을 했습니다. 지난 23일 미국 자율주행 전문업체 앱티브와 조인트벤처(JV)를 설립하고 자율주행 기술 개발에 나선다고 공시를 했는데요. 현대차와 기아차, 현대모비스 3개 계열사가 20억달러를 출자 이중 현금 출자액만 16억달러에 달한다고 합니다. 돼지열병이 점점 퍼지고 있어 우려가 커지는 상태인데요... 상한가 & 특징주 & 하한가 2019. 9. 24. 아프리카 돼지열병 관련주 - 아프리카 돼지열병 비상, 해외축산물 반입금지 및 검역 강화 이번 포스팅은 돼지열병 관련주를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최근 아시아 지역을 휩쓸고 있는 아프리카 돼지열병의 국내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정부가 노력하는 중인데요. 아프라카 돼지열병은 발생국가의 양돈 농가에 재앙이라 할 정도의 심각한 바이러스이며 치사율이 90% 이상에 달한다고 합니다. 다행히도 사람에게는 전염되지 않고 돼지에게만 전염된다고 하네요. 하지만 현재 아프리카 돼지열병에 걸릴 경우 마땅한 치료제도 없는 상황이라 살처분과 확산을 막는 방법이 최선이라고 하는데요. 국내 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백신이 없는 상태이고 최근들어 아시아 지역에도 발상하는 사례가 나오는 만큼 농림축산식품부는 연내 아프리카 돼지열병 백신 연구를 시작할 것이라고 합니다. (아시아 3개국, 아프리카 29개국, 유럽 13개국이 감.. 테마주 & 수혜주 2019. 4. 10. 이전 1 다음